파킨슨병 수명과 원인 그리고 특징
다음에 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1. 파킨슨병의 원인
2. 파킨슨병의 증상
3. 파킨슨병의 치료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많이 발생을 하며, 난치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0대 이후부터 많이 발병하고,
최근들어 40대 이하에서도 간혹 발병하고 있으며,
60세 이상이 가장 많이 발병합니다.
1. 파킨슨병의 원인
파킨슨병은 신경 퇴행성 질환 중의 하나로, 신경 세포들이 소멸하게 되고, 이로 인해 뇌 기능이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뇌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신경세포의 손상으로 인하여 분비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병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아직까지 파키슨병의 원인에 대해,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50대 이전에 발병한 경우 유전적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 환경적인 요인, 독성 물질이 원인인 경우도 있으나 명확히 밝혀진것이 없습니다.
파킨슨병은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 퇴행성 질환입니다.
2. 파키슨병의 증상
파킨슨병은 처음 발견되는 증상으로는 몸의 떨림이 가장 특징적입니다.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느린 행동, 경직, 불안정한 자세 그리고 가만히 있을 때 주로 발생하는 떨림 등이 있습니다.
파킨슨병에 걸린 50% 이상의 환자에게서 손, 발, 팔, 다리 등을 떠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움직이거나 특정 자세를 취할 때보다, 가만히 안정된 상태에 있을 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잠을 자거나 움직일때는 떨림이 없고, 휴식 중 떨림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떨림이 보이지 않는 파킨슨병도 있습니다.
떨림 증상의 경우에는, 70%의 환자에게서 손과 다리 어느 한쪽에서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진행이 되면서 걷는 것도 부자연스러워지고, 속도도 느리며, 걸음의 보폭도 좁아집니다.
걸을때 팔을 움직이지 못하거나, 왼쪽, 오른쪽 방향을 틀 때에도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다리가 무거워진 듯한 느낌이 들고, 관절이 경직되고, 일상적인 식사, 옷 입기와 같은 동작에도 어려워 집니다.
경직은 관절의 운동이 뻣뻣해져서 부드러운 운동에 장애를 보이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한쪽 팔다리에서 먼저 나타나고 이후에 전신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느린 행동은 움직임은 있으나 느리게 움직이고, 어떤 동작을 하려고 해도 시작이 잘 되지 않거나 시작이 되더라도 매우 느리고 동작을 멈추는 데도 쉽지 않게 됩니다.
가만히 서 있는 자세에서는 등이 구부정하게 굽고 팔꿈치가 약간 굽어 있는 형태의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행 시에는 한쪽 팔은 앞뒤로 움직이는데 다른 팔은 몸 쪽에 붙어서 걷는 경향이 있고, 더 심해지면 양쪽 팔 모두를 몸에 붙이고 걸어가게 됩니다.
60대 이상의 노인이 손발이 떨리는 등의 파킨슨병 증상이 없더라고, 평소와 다르게 냄새를 잘 맡지 못한다면 파킨슨병을 의심해보고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파킨슨병의 환자 수는 인구 1000명당 1명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신경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약 40%에 있어서 치매를 동반하게 되는데요.
파킨슨병에서 동반된 치매의 특징은 초기에는 기억 저하만을 호소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파킨슨병은 진행되다보면 정신 이상 증세도 함께 호소합니다.
우울, 환청, 환각, 불면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식사를 하는 과정에서 뇌의 섭식중추가 기능이 떨어져, 식사를 삼키는 것이 어렵게 됩니다. 연하 중추도 이상이 생겨 입, 혀도 경직이 되고, 얼굴이 마비된것처럼 표정도 굳어서 무표정을 하게 됩니다.
말기에는 언어장애가 생겨, 말을 할때 더듬거나 발음이 부정확하게 됩니다.
뇌 신경이 저하되고 쇠약해져있어서, 치매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게 치매가 올 확률은 매우 높습니다.
3. 파킨슨병의 치료
파킨슨병의 원인으로 도파민과 연관이 있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도파민은 대뇌 피질에서 몸의 움직임과 근육을 조절해주는 전달 물질로, 파킨슨병 환자에게 왜 이 도파민이 감소하는지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파킨슨병은 난치병으로 완치할수 있는 방법은 없고, 서서히 진행을 느리게 하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파킨슨병 진단을 받게 되면 수명이 대략 15년 정도를 예상하게 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름열매 효능(복용방법, 부작용 총 정리) (0) | 2021.07.14 |
---|---|
헌혈 조건 및 헌혈 주의사항 확인 (0) | 2021.07.05 |
비행기 귀통증 완화와 해결(항공성 중이염) (0) | 2021.06.21 |
50대 백신접종 시기 / 10대~40대의 접종시기는? (0) | 2021.06.20 |
쌀 귀리 부작용 / 쌀 귀리 효능 / 쌀 귀리 먹는 방법 (0) | 2021.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