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 사망률 (전신마취 과정 및 위험요인, 전신마취검사)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전신마취 사망률 (전신마취 과정 및 위험요인, 전신마취검사)

by Krishnamom 2022. 7. 20.
반응형

전신마취를 해야 하는 수술을 받는 경우에 일생을 살아가면서 아주 특별하고 중요한 사건이 아닐 수 없습니다. 수술이나 질병 자체만으로도 걱정이 많지만, 난생처음 받는 전신마취라는 것 자체도 매우 낯 선일입니다. 전신마취 사망률과 그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보았습니다.

 

 

 

 

 

전신마취 사망률

 

과거에는 전신마취를 하게 되면 깨어나지 못하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습니다. 질병이나 수술 과정과는 별개로 마취만으로 사망하는 경우는 아주 극히 드문 일입니다. 과거에는 전신마취에 사용되는 마취약제가 덜 발전한 시대여서 몸에 흡수된 마취약제가 해독되지 못하거나 더디게 해독, 배출되어 결국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거나, 호흡곤란, 심혈관계 이상,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유발되어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대에는 많이 발전된 마취약제의 사용으로, 몸에 주입된 마취약제의 해독이 빠르고, 부작용이 덜하거나 없는 약들이 많이 개발되어서 과거와 같은 사례가 아주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마취는 단순하게 환자의 의식을 소실시켜 잠만 재우는 행위가 아닙니다. 

환자가 충분히 잠이 들어서 수술과 같은 외부 자극과 통증에도 잠에서 깨지 않고,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것이 기본입니다. 더불어 환자가 마취약제로 깊은 잠에 들게 되면 스스로 숨을 쉬는 자발 호흡 또한 억제되기 때문에 기도삽관이라는 과정을 통해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여 대신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 깊은 잠에 든 전신마취 환자는 비록 수술 중에 일어나는 모든 자극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입니다. 하지만 수술 중의 통증과 자극은 환자의 인체가 "아프다"는 것에 반응하게 됩니다. 

환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수술중 아픔은 혈압이 상승하고, 맥박이 빨리 뛰는 등의 신체 반응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환자가 깊게 잠들어 있다 할지라도, 전신마취 중 환자의 신체가 아파하지 않도록 진통제를 충분히 사용하여 통증 조절을 하는 것 또한 마취의 일부에 해당됩니다. 

 

 

전신마취, 환자가 단순히 수술중에 잠이 든다고 생각하셨나요?

 

 

 

 

 

 

 

위와 같이 충분히 깊게 잠이 들고, 기계 호흡으로 호흡을 대신 유지하고, 잠든 신체가 통증에 고통받지 않게 통증 조절을 해주는 과정이 전신마취입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되는 약제와 수술 중에 발생하는 수술부위의 신경 자극, 그리고 출혈 등 다양한 이유로 환자의 혈압이나 신체 반응은 불안정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필수 마취약제 자체만 해도, 전신마취를 위해서라면 꼭 사용해야 하는 약이지만, 사용하게 되면 혈관이 확장되어 저혈압이 발생되는 등 심혈관계에 반응을 하게 됩니다. 그 외에 마취 중 필수로 사용되어야 하는 약의 대부분은 간 또는 신장에서 해독, 배설되는데, 정상적이었던 간 기능, 신장기능을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떨어뜨리거나 손상되게 합니다. 이와 같이 평소에 기저질환이 있거나, 진단받은 기저질환은 없더라도 알게 모르게 병을 가지고 살아왔을 경우에 전신마취를 하는 것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신마취가 계획되면 반드시 여러가지 검사를 하게 됩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빈혈, 지혈 수치 등을 확인하고, 간수치, 신장 기능 수치 등 중요한 다양한 신체 상태를 파악합니다. 엑스레이를 통해 인공호흡을 해야 되는 전신마취 이전의 환자 폐 상태를 간단하게라도 확인하게 됩니다. 심전도는 심장의 기능을 아주 간단하게나마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 초음파 등을 통한 심장 기능 확인보다는 덜 섬세하고, 덜 정확하지만, 전신마취를 하는 모든 환자에게 비용이 높은 심장 초음파를 시행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심장의 기능을 기본적인 부분에서 확인하기 위해 심전도를 시행합니다. 

마취 전 환자 상태를 확인 하기 위하여 머리부터 발끝까지 CT나 MRI를 찍을 수는 없기 때문에, 최소한의 검사를 통해 환자의 신체 상태를 확인하고 진행합니다. 최소한의 검사이다 보니 환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고 아주 자세하게 알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위의 내용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전신마취라는 행위 자체로 사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전신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수술 및 전신마취 후의 생존율에 분명히 높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술이 아주 긴박한 초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환자의 신체상태를 기본적으로나마 확인 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신마취 합병증

 

전신마취 합병증

전신마취 합병증은 전신마취 중 발생할 수 있는 희귀하고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이 합병증은 전신마취 과정에서 다양한 위험 요인에 의해 유발되며, 심장, 호흡, 순환, 중추신경계 등 다양한 시

krishnamom.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