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백신 접종 전 궁금한 사항 정리(아스트라제네카)
고령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는데, 접종 전에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부분에 대하여 몇가지 정리해 보았다.
고혈압, 당뇨병 - 접종해도 되는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금기시되는 기저질환은 없다.
급성기 치료가 필요한 병을 앓고있는것이 아니라면 접종하라고 당국은 권고한다.
고혈압 환자
평소 혈압이 잘 조절되면 괜찮다.
단, 접종 당일 혈압이 높거나 낮다면 몇일 뒤에 접종하는것이 좋다.
당뇨병 환자
접종을 권한다. 서울대 교수팀이 코로나 환자 7590명을 조사한 연구에서 고혈압, 당뇨병, 만성 폐 질환은 코로나에 걸렸을 때 사망 위험을 높이는 요인들로 나타난 바 있다. 그렇기때문에 더욱이 권장한다.
암 환자
대한종양내과학회는 암 환자에도 접종을 권고한다.
단, 항암 치료 후 보통 10일~2주 정도는 백혈구 수치가 많이 떨어지는데, 이때 백신을 맞으면 항체가 잘 안 생길 수 있기때문에 접종 시기는 담당 전문의와 상의하여 정해야 한다.
혈전 논란 - 뇌졸중 기왕력이 있다면
뇌졸중이 생기는 것과 접종으로 혈전이 발생하는 건 상관이 없다.
혈전은 혈액이 잘 흘러가지 못하면서 정체되고 정체된 혈관 내에서 피가 굳는 것이다. 이때문에 혈류장애를 일으키거나 다른 혈관으로 떨어져 나가 그곳을 막으며 문제가 생긴다. 백신 이상 반응으로 지목되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은
백신과 관련된 혈전은 혈소판 수치가 15만개 이하로 떨어지는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정맥 혈전증인데, 주로 젊은 층에서 발병한다.
접종 전 타이레놀 예방적 복용?
전문가들은 권장하지 않는다.
발열 등의 증상이 생긴다고 해도 타이레놀을 복용한 뒤 효과가 지속하는 시간보다 (이상 반응이) 더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미리 먹는 게 효과도 크지 않고, 불필요한 약물 사용일 수 있다.
부작용이 100% 생기는 게 아닌데 미리 먹어 그만큼 득이 있는 게 아니고 불필요한 해가 될 수 있으니 준비하고 있다가 증상이 생겨 필요할 때 먹는 걸 권장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권고도 그렇다.
접종 전 알레르기약을 먹으면 아프지 않는다는 얘기도 과학적 근거가 없다.
접종 후 해열제 먹을 때 주의사항
해열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과 이부프로펜(부루펜) 계열이 있는데
아세트아미노펜처럼 소염 효과가 없는 해열진통제를 복용하는 게 적절하다.
항염증 효과를 가진 소염제를 먹으면 항체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
대한의사협회도 그렇게 권고한다.
가급적 타이레놀을 먹되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부루펜을 먹는 것도 크게 문제 될 것 없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도 있다.
타이레놀은 500㎎ 기준 1~2알씩 6시간 정도 간격으로 먹는다.
(일일 최대로 먹어도 3~4회)
약을 먹어도 열이 계속 나면 복용량을 늘리지 말고 병원을 찾는것을 권장한다.
3일 이상 증상이 지속하면 의사 진료가 필요.
40도의 고열, 열성경련이 있거나 심폐질환 등 만성질환자는 복용을 권고, 체온이 이보다 낮더라도 본인이 판단하기에 일상생활에 지장 받을 정도로 힘들면 해열제를 복용.
수분섭취를 충분히 하고 옷을 가볍게 입는 것도 도움된다.
접종 부위 통증에는 차가운 물 찜질을 해주면 좋으나,오랜시간 계속 점점 심해지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접종 전 주의 사항
접종 전날, 다음날은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도록.
일각에서 접종 전 삼겹살을 먹으면 통증이 없다는 말에 전문가들은 “의학적 근거가 없다”고 말한다.
접종 당일 37.5도 이상 발열이 있거나, 발열이 없어도 컨디션이 안 좋다고 느끼면 접종을 미루는것이 좋다.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한 적이 있다면 접종 주의 대상에 해당한다.
단, 어떤 성분에 그랬는지 명확하게 확인돼 있다면 득실을 따져 상황에 따라 접종할 수 있다.
접종 후 운동
접종 직후 최소 3시간은 안정을 취하고 물을 많이 마시며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2~3일은 고강도의 운동, 음주, 사우나를 삼가하는것을 권장한다.
4주 정도는 관심을 갖고 몸에 이상이 있는지 관찰하고, 예정된 수술이 있을 때도 긴급한 게 아니라면 최소 2주 기간을 띄워 뒤로 미루는 걸 권한다.
두통이나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으니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은 낙상 등에도 주의해야 한다.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이 백신 접종 후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이상 반응이지만 숨참,가슴 또는 복부 통증 ,팔다리 부종 또는 차가워짐, 심각하거나 악화한 두통, 흐린 시야, 지속적인 출혈, 여러 개의 작은 멍, 붉거나 자색의 반점 중 하나라도 나타난다면 병원을 찾는 게 좋다.
가장 주의해야하는 증상으로는 두드러기가 나거나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
대부분 접종 직후 발현하지만, 드물게 몇 시간 지나 나타날 수도 있다.
이 경우 병원을 찾아 에피네프린 약물을 투여 받아야 한다.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마스크 벗을수 있을까? / 집단 면역이란?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마스크 벗을수 있을까? / 집단 면역이란?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고 나면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하여 완화를 시켜주고, 마스크를 벗을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등 인센티브의
krishnamom.tistory.com
코로나 백신 접종 인센티브(1차 접종자 노마스크, 모임제한 완화)
코로나 백신 접종 인센티브(1차 접종자 노마스크, 모임제한 완화) 코로나 백신 접종 인센티브 1차 접종자 7월부터 노마스크?? ▶ 26일 정부는 총 3단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인센티브 방안을
krishnamom.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 요양보호사 백신 2차접종 후 확진 / 긴급 역학조사 中/ 돌파감염이란? (0) | 2021.05.29 |
---|---|
잔여 백신 예약, 접종, 알림받기 방법 (카카오톡/네이버) (0) | 2021.05.29 |
코로나 백신 접종 인센티브(1차 접종자 노마스크, 모임제한 완화) (0) | 2021.05.27 |
코로나 밀접 접촉자 (기준, 자가격리, 음성, 생활지원금) (0) | 2021.05.14 |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국내 사례, 부작용 확률, 중단국가) (0) | 2021.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