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등 이더리움클래식 비트코인 (이더리움클래식이란, 채굴방법, 사용처, 전망, 이더리움과 차이)
본문 바로가기
이슈

폭등 이더리움클래식 비트코인 (이더리움클래식이란, 채굴방법, 사용처, 전망, 이더리움과 차이)

by Krishnamom 2021. 5. 6.
반응형

 

폭등 이더리움클래식 비트코인 (이더리움클래식이란, 채굴방법, 사용처, 전망, 이더리움과 차이)

 

 

 

이슈 이더리움클래식

공매도가 재개되며 코스닥 지수는 하락하고 있는데 반해 알트코인은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암호화폐 2위이자, 대표적인 알트코인인 이더리움이 연일 상승중.

여러차례 주춤하고 있는 비트코인과 달리 이더리움은 계속 상승중.

이더리움의 가격 상승 전망이 이어지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이더리움클래식에 매수세가 몰리는것으로 분석.

 

 

 

 

이더리움클래식(Ethereum Classic)

이더리움클래식은 비트코인과 달리 '디지털 플랫폼'의 성격을 띄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이자 암호화폐.

이더리움 클래식(ETC)을 이더리움 (ETH)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수수료가 많다는 것과, 처리속도가 느린점이 문제.

 

 

 

이더리움클래식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주요 초점은 스마트 계약.

– 사람들이 중개인 없이 돈, 재산, 주식, 가치있는 모든 것을 교환 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

이더리움과 마찬가지로 작업 증명 채굴 메커니즘인 이더리움 가상 머신 (EVM)과 가스라는 동일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음.

 

 

이더리움클래식의 창시

비탈릭 부테린이라는 러시아/캐나다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이더리움의 기반이 되는 백서를 작성.

그러나 이더리움클래식은 2016년 7월 20일에 논쟁적인 행동 방침에 동의하지 않는 개발자 그룹의 결정의 일부로 존재함.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처음에는 이더리움만 있었다.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라는 그룹은 이더리움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벤처 캐피탈 펀드를 만들었다. 토큰 판매를 통해 1억 달러 이상을 모금하면서 엄청난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곧 악용된 코드에 취약점이 있었고, 수백만명이 DAO 펀드에서 빠져 나왔고 투자자들은 당황. 그들은 '해커'가 토큰을 현금화하기 전에 솔루션을 찾을 수 있는 28일의 기간을 가졌다. 한 가지 해결책은 해킹을 되돌리고 사람들에게 돈을 돌려주는 하드포크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원장을 엉망으로 만들지 않는다는 블록체인 원칙을 믿는 순수 주의자들의 외침이 일어남.

Vitalik Buterin과 같은 거물 플레이어를 포함한 많은 커뮤니티가 하드포크를 선택하였다. 그것은 오늘날 존재하는 이더리움으로 진화하였다. 반면에 사물을 동일하게 유지한다고 믿었던 사람들은 기존 플랫폼에 머물면서 이름을 이더리움클래식으로 변경하였다.

 

 

 

이더리움클래식은 채굴

이더리움클래식은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여 채굴 할 수 있는 작업 증명 코인이다. 그러나 이더리움클래식 (ETC)은 제한이 없는 이더리움(ETH)과 달리 총 2억 1천만 코인을 공급 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더리움클래식 사용

이더리움과 거의 같은 방식이다.

ETC는 이더리움클래식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연료이다.

또한 다른 암호 화폐를 위해 여러 거래소에서 거래 될 수 있다.

 

 

전망

이더리움이 하드포크를 시작했을 때 대부분의 주요 인플루언서가 필요하였다. 여기에는 이더리움의 채택을 늘리고자 하는 Microsoft와 같은 대기업으로 구성된 Enterprise Ethereum Alliance가 포함 되었다.

포크전투 또는 포크 없음에서 이더리움이 1 위를 차지했고, 더 나은 평판, 더 많은 투자, 더 높은 통화 가치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이더리움클래식에는 활발한 커뮤니티가 있으며 최근에는 Enterprise Ethereum Alliance에도 가입하였다. 이더리움이 아직 실험하고 있는 사이드 체인의 구축 및 배포를 완료하였으며 에메랄드 프로젝트의 형태로 보다 정교한 코딩 언어를 적극적으로 만들고 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여전히 약자이지만 커뮤니티의 일부에게는 이것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반응형

댓글